본문 바로가기
Touching to the heart

인생의 대부분은 운동으로 해결된다 : 운동의 뇌과학 [Part3]

by 스카이진 2024. 1. 25.
728x90
반응형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

 

 

두 번째 딱 맞는 운동 강도를 찾는 법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를 기억하나요?

꾸준히 가야 성공한다는 우화는 운동을 시작할 때도 적용됩니다

 

우리의 몸은 스트레스 시스템이 거북이 같은 접근법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좋은 스트레스와 나쁜 스트레스는 종이 한 장 차이입니다

 

다시 말해 성공적으로 운동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그 둘을 나누는 선에서 멀어지지 않고

가능한 그 선 위에서 줄타기를 아슬아슬하게 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따를 때 운동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혜택은

극대화되며 부상과 통증의 위험은 최소화됩니다

 

너무 힘든 운동은 당신을 나쁜 운동으로 인지하여 

몸을 되려 망가트립니다

 

반면 너무 쉬운 운동은 몸을 강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

아무런 변화도 일으키지 않습니다

 

728x90

 

때문에 당신은 최적의 성장을 위해 딱 맞는 강도의 운동을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딱 맞는 운동 강도란 무엇일까요?

 

사실 그것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같은 강도로 운동을 하더라도 어떤 사람은 매우 기분이 좋은 반면

어떠한 사람은 끔찍한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바로 운동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뉴로핏 연구소는 운동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운동 내성을 측정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실험자에게 자전거에 앉아 힘이 들지 않는 약한 강도로 페달을 밟게 한다

 

2. 처음보다 강도를 약간 높인다

피실험자는 허벅지에 약간의 묵직함을 느끼며 페달을 밟을 것입니다

근육은 유산소 대사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데

이제 근육은 공급받는 것보다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무산소 대사가 끼어들기 시작하고

이 과정에서 근육이 피로를 유발하는 물질인 젖산이 생성됩니다

 

3. 강도를 한 단계  더 높입니다

이제 피 실험자는 근육이 타는듯한 통증을 느낍니다

바로 이 상태가 젖산 역치 

즉, 당신에게 딱 맞는 운동 강도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힘이 들어도 피로를 기분 좋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당신에게 필요한 좋은 스트레스가 되는 것입니다

 

4. 3번보다 강보를 더 높이면 더 많은 젖산과 더 많은 스트레스가 생성됩니다

아드레날린과 코르티솔이 물밀듯이 혈관으로 쏟아져 들어옵니다

피실험자는 숨이 가빠지고 심장이 격하게 뜁니다

 

5. 이 상태가 지속되면 몇 분 안에 피실험자는 더 이상 산소 섭취가 늘지 않는

최대 산소섭취량 지점에 도달합니다

이는 당신의 몸이 필요하는 산소 수요를 따라갈 수 없다는 뜻입니다

최대 산소 섭취량에 도달하면 나쁜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뇌가 신체를 멈추게 됩니다

그리고 테스트는 여기서 끝나게 됩니다

 

따라서 당신에게 딱 맞는 운동 강도는 3번에 젖산 역치 상태나

그보다 살짝 더 힘든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연구소에 갈 수 없어서 딱 맞는 운동을 찾지 못하면 어떡하냐고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스스로와의 대화를 통해서 당신의 젖산 역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하면서 스스로에게 물어라



지금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젖산 역치 아래에 있는 것입니다

 

이후 강도를 높이고 다시 물어라

지금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그때의 운동 강도는 젖산 역치보다 더 높을 가능성이 크다

 

무조건 젖산 역치보다 높은 강도의 운동이 나쁜 것은 아니다 

현재 상태보다 건강해질 수 있을 정도의 좋은 스트레스를 만들려면

처음 며칠은 젖산 역치보다 높은 강도의 운동을 해야 합니다

 

역기의 무게를 점진적으로 늘려서 근력을 키우듯

운동 스트레스 내성도 운동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려야 키울 수 있습니다

 

오래 지나지 않아 당신은 더 탄탄하고 건강한 몸을 갖게 될 것입니다

또한 운동도 이전에 비해 더 즐기게 될 것입니다

 

운동 스트레스 내성을 키우면 운동에 대한 즐거움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

 

728x90
반응형

댓글